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가상화폐 채굴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가상화폐를 채굴하는 방식은 현재 다양한 방식으로 많이 개발되었습니다. 이번에는 그중에서 대표적인 두개의 방식인 작업증명 (POW) 방식과 지분증명 (POS) 방식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작업증명 (POW)
작업증명 (POW)은 Proof-of-Work 의 약자입니다.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에 대한 보상으로 코인이 생성되어 지급됩니다. 흔히 코인 채굴이라는 말은 바로 이 작업증명을 이야기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코인들이 작업증명으로 새로운 코인이 발행됩니다. 이러한 작업증명의 장단점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작업증명의 장점
작업증명에 대표적인 장점은 보안성입니다.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특정 누군가가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51% 이상의 지분을 가져가야 합니다 이를 51% 어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작업증명은 이러한 지분을 얻기 위해서는 엄청난 컴퓨터와 전기가 필요합니다. 즉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기에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작업증명의 단점
위에서 설명했듯이 작업증명으로 채굴을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합니다. 이로 인해 탄소배출 많이 발생시킵니다. 최근에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탄소배출을 줄이려고 노력 중인데, 엄청난 전력을 사용하게 되니 환경에는 좋지 못합니다. 또한 작업증명은 갈수록 채굴 난이도가 증가하도록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고 갈수록 환경에는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지분증명 (POS)
지분증명 (POS)은 Proof of Stake의 약자입니다. 현재 대표적으로는 작업증명에서 지분증명으로 바꾼 이더리움이 있습니다. 처음에 등장한 작업증명에 대안으로 등장한 방식입니다. 지분증명은 명칭처럼 해당 블록체인의 토큰 즉 암호화폐의 수량만큼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해당 블록체인의 암호화폐를 많이 보유할수록 더 많은 블록을 생성하여 많이 가질 수 있는 구조이죠 이를 스테이킹(staking)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따로 지분증명은 채굴 자란 게 없으며 검증자가 존재합니다. 검증자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블록체인의 암호화폐의 지분을 많이 보유할수록 검증자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지분증명으로 암호화폐를 받기 위해서는 그냥 보유만 해서는 안되고 따로 검증이라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검증이란 블록체인의 새로운 블록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을 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분증명의 장점
지분증명의 장점은 작업증명과 반대로 고성능 컴퓨터나 전력 소모 없이 코인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또한 수많은 사람들이 지분증명 노드를 실행하는데 참여합니다. 지분증명으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게 작업증명보다 쉽기 때문에 참여자들 또한 많습니다. 또한 작업증명은 채굴 속도도 블록체인 자체의 속도도 그 구조상 속도가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지분증명은 그러한 작업증명보다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분증명의 단점
일단은 보안성과 탈중앙화입니다. 작업증명과는 달리 고성능 컴퓨터와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검증자가 돈이 많은 사람이라면 엄청난 지분을 사들여서 네트워크를 장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특정 누군가가 다수의 지분을 보유하여 네트워크를 장악한다면 탈중앙화 부분또한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자컴퓨터 산업과 투자 (0) | 2022.10.02 |
---|---|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종류와 문제점 (3) | 2022.10.02 |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등장 및 특징 그리고 보안과 탈중화 이야기 (0) | 2022.09.29 |
UAM 도심항공모빌리티, EVTOL 전망과 투자 (0) | 2022.09.28 |
메타버스 증강현실 AR, 가상현실 VR 투자와 비판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