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엔 예적금보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회초년생이라면 역시 월급을 받으면 은행에 적금을 위주로 그러니까 원화를 위주로 돈을 모으시고 만기가 되면 예금으로 사실상 원화를 매우 높은 비중으로 장기 보유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예적금을 하는 게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엄청 불리하고 미래의 노후까지도 위협받게 된다는 걸 인플레이션을 위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진정한 이해
사람들은 사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진정으로 이해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머리로 대충 알고는 있지만 이게 얼마나 위험한지는 체감을 제대로 못하고 있어요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면 대부분 물가가 오르는 것 그 이유는 화폐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라고 정답은 알고 계십니다. 그런데 다들 상식처럼 알고 계시지만 알고 계신 것과 다르게 행동으로는 예적금에 높은 비중으로 저축을 하고 계시죠 진정으로 인플레이션을 이해하셨다면 예적금에 높은 비중을 넣는 건 상식적으로 힘듭니다. 우리가 투자를 안 하고 예적금을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안전하다는 이유 때문일 겁니다. 대표적 금융투자자산인 주식은 변동성이 높습니다. 오늘 만원이 -10%가 하락해서 9천원이 될 수 있죠 반대로 우리가 저축으로 사용하는 법정화폐는 표시된 숫자가 내려가지 않죠 그런데 여기서 가장 큰 함정이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화폐가치의 하락입니다.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10%가 올랐다면 예적금 이자로 4%를 받는다 해도 -6% 구매력손실을 보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으로부터 구매력을 보존하려면 10% 이자를 받아야 진정한 원금이 유지가 되는 겁니다. 그러려면 예적금이 아니라 자산을 사야 합니다. 화폐가치의 하락으로부터 내 구매력을 지켜줄 좋은 자산을 사야 합니다. 100% 무조건 하락하는 법정화폐에 거의 몰빵에 가깝게 저축하는 건 자본주의에서는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투자에서 좋은 자산을 산다면 장기적으로 화폐처럼 100% 하락하지 않습니다. 공부하고 마인드를 키울수록 투자성공률은 매우 높아집니다. 실패할 확률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합니다.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겁니다. 장기적으로 100%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걸 알면서도 정말로 예적금에 높은 비중으로 저축하는 것이 안전한 걸까요?
반드시 하락하는 화폐가치
위에 사진은 시중에 달러가 얼마나 많이 풀려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M2지표입니다. 미국에서 달러를 많이 풀면 다른 나라도 같이 화폐를 발행하여 인플레이션을 일으킵니다. 현대 자본주의 시스템은 빚을 빚으로 돌려 막고 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나 2020년도에 일어난 코로나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서 엄청나게 많은 돈을 발행하여 유동성으로 위기를 벗어납니다. 위에 사진에서 보듯이 2020년도에 코로나19가 시작할 때 양적완화로 엄청나게 많은 돈이 풀린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렇게 계속 복사되는 돈은 인플레이션이 지속 될 수록 복리로 불어납니다. 2008년에 리먼사태를 이겨내기 위해서 발행한 화폐량은 이제 코로나19를 위해서 발행한 화폐량보다 엄청 작죠 마약을 하면 계속 투여하는 양을 늘리듯이 화폐도 발행하면 할수록 의미 있는 효과를 내기 위한 발행량이 증가합니다. 아주 과거에 집 살려고 100만원 1000만원 단위로 대출받았다면 지금은 몇억을 대출받습니다. 똑같이 몇백 몇천만원으로 대출받지 않죠 그만큼 화폐가치가 하락했고 그만큼 집값은 많이 올랐으니까요 그렇게 미국은 많이 빚을 내니 이젠 갚을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미국은 언제나 부채한도에 도달할 때마다 뉴스에서는 미국이 디폴트 된다는 위험해 보이는 뉴스가 돌아다니면서 언론에서는 겁을 주고 결국은 부채한도를 올려서 새롭게 돈을 추가적으로 발행합니다. 결국 미국은 계속 돈을 발행해야 하고 화폐가치는 무조건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금리도 저금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높은 금리는 부채가 많은 미국에 불리합니다. 높은 금리로 이자를 부담하면 결국 부채한도에 더 빠르게 도달합니다. 저금리를 최대한 오래 유지하고 돈을 많이 발행해서 과거에 발행한 화폐가치를 하락시켜 헐값에 갚아버리는 겁니다. 동시에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소비심리를 높여야 합니다. 현재보다 미래에 물가가 오를 거라면 당연히 지금 사는 게 싼 것이 되니 지금 소비를 하게 만들어 경제를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예적금을 하게 되면 현재 나의 구매력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무조건 100% 하락하게 될 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마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세대 주식 코인 투자자를 위한 지침 (18) | 2024.09.22 |
---|---|
미국주식 장기투자할 때 환율과 네 마녀의 날 대응법 (7) | 2024.09.22 |
초보 주식,코인투자자들의 실패하는 대표적인 투자법 (0) | 2024.04.21 |